파인만처럼 학습하기 - 천재 물리학자 파인만은 어떻게 공부했을까? (파인만 학습법)
천재 물리학자,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(노벨상을 거부하려 했던 것으로도 유명한)
아인슈타인과 함께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로 불리며
과학의 대중화를 이끈 인물 중 한명인 리처드 파인만
그는 양자 역학, 입자 물리학 분야에 많은 과학적 발전을 이뤄냈고,
나노 기술에 대해서도 최초로 제창한 사람 중 한 명이며,
교육과 강의에도 뛰어난 실력을 가졌던 것으로 유명한데요.
과연 그는 어떻게 공부했을까요?
ㅇ '이해했다'에 대한 남다른 기준
파인만의 '이해했다'에 대한 남다른 기준은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.
파인만은 '무언가를 아는 것'과 '무언가의 이름을 아는 것'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며,
무언가를 이해하려면, 그것을 아이에게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.
간단히 설명할 수 없다면,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기에
머리로는 안다고 생각하는데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
파인만의 기준에서는 개념을 이해했다고 볼 수 없는 것이지요.
(실제로 우리는 여러가지 어려운 개념이나 사안을 언론이나 인터넷에서 보고
대강의 의미만을 익힌 채 우리가 그것들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곤 합니다)
이런 기준 때문에 빌 게이츠에 따르면 파인만은 본인에게는 매우 엄격하며,
특히 어떤 것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을 때는 본인을 더욱 밀어붙였다고 합니다.
'내가 이 경계 조건을 재대로 이해한건가?', '왜 다른 방식으로는 접근하지 않는 지 제대로 이해했나?', '내가 정말로 이해한 걸까? 등과 같이 깊게 이해하도록 자신을 밑어붙었고,
대부분의 사람들이 설명하기 쉽지 않은 것을 굉장히 쉬운 개념으로 설명하는데 탁월했다고 합니다.
파인만은 이처럼 무언가를 잘 설명하는 비결은 스스로 깊이 이해하는 데 있다고 믿으며,
쉽고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스스로를 몰아붙이며 깊이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.
파인만 학습법은 크게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#1. 개념을 선정하고, 생각하고 알고 있는 모든 내용을 적어본다.
제대로 이해하고 싶은 개념을 선정하고, 그것에 대해 생각하고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적어본다.
(혹은 그에 대한 조사를 해보고 알게 된 모든 내용을 적어본다.)
#2. 가능한 한 가장 단순한 언어를 사용하여 설명을 써내려 가본다.
선생님이 되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강의용 스크립트를 쓴다고 생각하고,
그 개념을 전혀 모르는 12살 짜리 아이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을 써본다.
(* 복잡한 단어는 알아듣지 못한다고 가정하고, 최대한 평범하고 일상적인 단어들로만 설명해야 합니다)
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이해가 더 깊어지며,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정확히 집어낼 수 있습니다.
#3.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찾아 다시 공부하고 정리한다.
설명하다 막히는 부분, 설명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, 복잡한 단어로 설명해야 하는 부분 등
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찾아 다시 공부합니다.
막힐 때마다 노트, 원서/참고서, 강의, 교수/선생님 등에게 다시 돌아가 배우고
다시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정리합니다.
(말을 더 단순화 한다거나, 이해하기 쉬운 자신만의 설명법을 만든다거나 등)
파인만 학습법은 이와 같이 #2와 #3의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여
학습 효과를 높이며 더 깊이, 더 명확하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입니다.
추가적으로,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때는 여러 번 숙고하며,
자신의 이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주목하고 문서화시키는 것도 좋은데
이는 이해를 심화시키고 학습 과정을 조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.
ㅇ 요약 및 Key Point
1. 개념을 선정하고, 생각하고 알고 있는 모든 내용을 적어본다.
2. 가능한 한 가장 단순한 언어를 사용하여 설명을 써내려 가본다.
3.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찾아 다시 공부하고 정리한다.
⇒ 쉽게 설명해보고, 이해가 부족한 부분을 찾아
다시 공부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계속해서 반복한다.
- Key Point
결국 파인만 학습법의 핵심은 '사고'와 '연결'입니다.
설명하는 과정(및 재학습)을 통해 제대로 이해하고,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는 것이지요.
1. 단순히 사전적인 정의를 외운 것이 아니라 쉽게 설명하기 위해,
'사고'하며 차츰차츰 이해를 넓혀갔기 때문에 제대로 이해하게 된다.
(막히는 곳은 없는지, 제대로 이해했는지를 점검해볼 수 있고,
설명, 비유, 예시, 확장 등을 하며 논리와 타당성을 따지기 위해선 이해해야 하기 때문)
2. 자신만의 설명, 비유, 예시 등을 통해 자신만의 것으로 재구성하며
알고있던 기존 지식들과 '연결'시켰기 때문에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여 오래도록 기억하게 된다.
ㅇ Action Plan
1. 빈 종이나 노트 위에 이해하고자 하는 개념을 적고,
그것에 대해 생각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내용을 적습니다.
ex) 인공지능 - 마치 인간이 사고하고 지각하고 행동하는 것처럼 컴퓨터를 프로그램으로 실현시킨 기술
현재는 인간이 학습하는 것과 같이 컴퓨터에게 데이터를 학습시켜 패턴을 익히도록 하고 예측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인 머신러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. 인공 지능은 ~~로 나뉘고 ~~~와 같은 방법들이 있고 ~~ 등등등 ....
2. 초등학생에게 개념을 설명한다 생각하고, 강의용 스크립트를 작성해봅니다.
- 사전적 정의를 쓰는 것이 아닌,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단어들로
자신만의 설명, 비유, 예시 등을 만들어봅니다
- 관계나 구조 등이 있다면 도형 등을 이용해 도식화를 하며 자신만의 그림을 만들어도 좋습니다.
- 설명의 시작 및 흐름은 자유롭게 자신만의 방법으로 하면 됩니다.
(광범위한 요약으로 시작해도 되고, 해당 개념의 존재 목적이나 쓰임새 등을 말해도 괜찮습니다)
ex) 인공지능 - 인공지능은 '여기에 있는 많은 사진들 중에 우리 가족의 사진은 무엇일까요?'라는 질문에 우리가 사진들을 살펴보고 생각하며 가족 사진을 고를 수 있는 것처럼, 컴퓨터도 생각해보고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만드는 도구야. 집에서 매일 보는 아빠의 검은색 안경과 큰 입, 엄마의 큰 눈과 오똑한 코 등을 떠올리며 우리가 정답을 찾을 수 있는 것처럼 컴퓨터에게도 우리 가족의 사진들을 여러 장 보여주며 이러한 특징들을 알려준다면 컴퓨터도 정답을 맞출 수 있겠지? 인공지능은 이처럼 ~~~
3. 설명이 어려운 부분을 찾고 다시 공부합니다.
추가적으로 이해했다고 생각한 부분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관련 질문들을 이어나가 봅니다.
ex) 나는 인공지능의 ~~한 부분에 대해서는 깊이 알지 못했구나, ~~인 부분은 잘 설명하지 못하고 있구나.인공지능은 왜 어떤식으로 발전했지? 머신러닝, 딥러닝의 차이는 무엇이지? 머신러닝 외의 인공지능은 없을까?인공지능의 개념도를 그릴 수 있을 정도로는 조직적으로 이해하지 못했구나. 음.. 원서, 책, 강의, 질문 등을 통해 공부해보자 등등
4. 설명하고 (질문하고) 다시 공부하는 작업을 반복합니다.
(설명이 정확하고 명확하고 엄밀한지, 무언가로의 확장이나 응용 및 적용이 가능한지 점검해봅니다)
ex) (설명)인공지능은 ~~ ⇒ (점검) ~~ 모르는구나, ~~는 무엇이지? ~~는 없을까? ~~정확하고 엄밀한가? 등등 ⇒ (공부) ⇒ (설명) ⇒ (점검) ⇒ ··· ⇒
오늘은 리처드 파인만의 학습법을 분석해보고,
적용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.
자주 헷갈리고 잘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 있다거나,
새롭게 배우고 싶은 어려운 개념이 있다거나,
무언가를 제대로 명확히 기억하고 싶으시다면
파인만 학습법을 적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업글연구소였습니다.
감사합니다.
(도움이 되셨다면 공유나 하트, 댓글로 소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작은 관심도 큰 힘이 됩니다!)
- 제대로 이해한건지 확인해보기
Q. 당신은 그것을 아이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,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나요?
Q. 당신은 그것과 관련된 다양한 질문들에도 답을 할 수 있나요?
파인만처럼 학습하기 - 천재 물리학자 파인만은 어떻게 공부했을까? (파인만 학습법)